파이썬 썸네일형 리스트형 lec 2. 그리디 & 구현 모든 내용은 (이코테 2021) 이것이 취업을 위한 코딩 테스트다 with 파이썬 에서 비롯되었습니다. 강의 요약 및 복습을 위해 포스팅합니다. 12강 : 그리디 알고리즘 개요 그리디 알고리즘 - 그리디 알고리즘(탐욕법) : 현재 상황에서 당장 좋은 것만 고르는 방법 - 일반적 그리디 알고리즘은 문제를 풀기 위한 최소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능력을 요구한다 - 그리디 해법은 정당성 분석이 중요 → 단순히 좋아 보이는 것을 반복 선택해도 최적해를 구할 수 있는지 검토. - 일반적 상황에서 그리디 알고리즘은 최적 해를 보장할 수 없을때가 많다. - BUT 코딩 테스트 내 대부분 그리디 문제는 탐욕법으로 얻은 해가 최적 해가 되는 상황에서, 이를 추론할 수 있어야 풀리도록 출제된다. 거스름돈 문제 - Q. 126.. 더보기 3-1 연산자 모든 내용은 청년 AI·Big Data 아카데미 온라인 기초과정 (MOOC) 내용입니다. 개인 복습을 위해 강의 내용을 정리해 포스팅합니다. 연산자 개념 - 연산자 : 산술연산자 등 이미 정의된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나 키워드 - 문제 해결하는 방법에서 도구(장비) 역할 - 피연산자 : 연산에 참여하는 변수나 값. (Ex. 1+2 : 1,2는 피연산자 & "+" 연산자) - 산술연산자 = 대입연산자 + 더하기 - 빼기 * 곱하기 / 나누기 // 몫 구하기 % 나머지 구하기 ** n승 - 우선순위 산술 연산자 우선순위는 괄호 > 곱셈,나눗셈 > 덧셈,뺄셈 순서 덧셈,뺄셈끼리 곱셈,나눗셈 끼리 나오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계산 진행 - 문자열과 숫자 상호변환 문자열 int()로 정수 변환. float()로 실수.. 더보기 2-3 입출력 함수 모든 내용은 청년 AI·Big Data 아카데미 온라인 기초과정 (MOOC) 내용입니다. 개인 복습을 위해 강의 내용을 정리해 포스팅합니다. 입출력함수 - 입력함수 : input() - 출력함수 : print() 이름,나이 입력 및 숫자 계산하는 프로그램 작성 더보기 2-2 변수와 메모리 모든 내용은 청년 AI·Big Data 아카데미 온라인 기초과정 (MOOC) 내용입니다. 개인 복습을 위해 강의 내용을 정리해 포스팅합니다. 변수 - 변수 : 프로그램 저장 공간 - 변수는 값을 저장하는 상자 - 변수는 메모리에 저장됨 변수 : C언어 - C언어에서 변수는 데이터 타입 사용해 변수 선언한다 변수 : Python - 동적 타이핑 : 런타임 구문 사용해 Data Type 설정 - Python에서 변수는 객체를 가리키는 ID 값을 담는 저장공간 (Ex. 저장공간 a,b 에 같은 1을 입력하면 같은 ID 값 가진다.) 변수의 활용 - 파이썬에서 변수 데이터 형식은 값을 넣는 순간마다 변경되는 유연 구조 - 변수에 다른 값, 문자열, 실수 저장 가능 변수 값을 서로 바꾸는 프로그램 작성. 더보기 2-1 파이썬 개요 모든 내용은 청년 AI·Big Data 아카데미 온라인 기초과정 (MOOC) 내용입니다. 개인 복습을 위해 강의 내용을 정리해 포스팅합니다. 파이썬 언어 특징 - 플랫폼 독립적 - 인터프리터 언어 컴파일러 : 사람의 언어를 기계의 언어로 번역하는 것. 컴파일러엔 2가지 방식, C언어처럼 모든 소스코드를 코딩하고 컴파일러로 넘기는 방식과 결과값을 라임별로 보여주는 인터프리터 방식 - 객체지향 - 동적 타이핑 언어 - AI 프로그래밍을 위한 많은 라이브러리 제공 - 처음 C언어로 구현 운영체제와 프로그래밍 언어 - UNIX : 운영체제. 하드웨어가 사람들이 사용하기 편리하게 운영에 관련된 소프트웨어의 집합. - LINUX : 개인 PC에도 멀티 유저를 지원 - C : UNIX를 개발하면서 만들어진 언어 - .. 더보기 1-1 문제 해결 : 컴퓨팅 사고력과 문제해결 모든 내용은 청년 AI·Big Data 아카데미 온라인 기초과정 (MOOC) 내용입니다. 개인 복습을 위해 강의 내용을 정리해 포스팅합니다. Problem Solving - 문제입력 → 문제해결 (문제해결방법과 절차 : 알고리즘 ) → 해결출력 - ex. 학생 100명 출석부르는걸 문제 인식 -> 알고리즘 -> 얼굴인식출석시스템. Computational Thinking - 정의 : 컴퓨터 과학자처럼 생각하기 - CT는 읽기, 쓰기, 셈하기와 더불어 누구나 갖춰야하는 기본 역량 - CT는 컴퓨터 과학자뿐만 아니라 누구나 배워서 활용할 수 있는 보편적인 사고이자 기술. - CT는 컴퓨터과학 이론, 기술, 도구를 활용하여 현실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사고방식. - 의학, 법, 경제, 예술 등 모든 분야에서.. 더보기 이전 1 다음